시점이란 ‘고칠’ 필요가 없습니다 + 그 어떤 아바타도 그대에게 이걸 줄 순 없습니다.
마인드셋

시점이란 ‘고칠’ 필요가 없습니다 + 그 어떤 아바타도 그대에게 이걸 줄 순 없습니다.

무조건적인 시선은 고치려 하지 않습니다. 그대는 고쳐질 필요가 없습니다. 이걸 읽고 있는 그대 말입니다. 그대는 고쳐질 필요가 없습니다. 그대가 시점 수준에서 인지하는 모든 것—그것은 고쳐질 필요가 없습니다. 예전에 ‘녹인다(용해한다)’는 단어를 쓴 적이 있는데, 이는 고치는 것과 다릅니다. 바꾸는 것과도 다릅니다. 뭔가를 ‘녹임’은 저절로 일어납니다. 햇살을 얼음에
5 min read
시점을 이야기꾼의 눈으로 바라보기. 노려보는 거 아님. 어색하게 뚫어져라 쳐다보는 것도 아님. 바라보기임.
실전

시점을 이야기꾼의 눈으로 바라보기. 노려보는 거 아님. 어색하게 뚫어져라 쳐다보는 것도 아님. 바라보기임.

현재의 “추천 자료” 페이지에는 제가 특히 좋아하는 영성 유튜브 채널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말이 쓰여 있습니다.: 심리학, 생물학, 양자 역학, 종교, 영성... '나'에 접근하는 길은 많습니다. 레이블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나'에 접근할 때의 따스함입니다. 다른 이들이 '나'의 객관적, 논리적, 합리적인
12 min read
시점에 나타난 문제들의 목록을 작성하세요.
실전

시점에 나타난 문제들의 목록을 작성하세요.

원치 않는 시점 특화를 용해하는 과정은 묘사하기에 간단합니다: 1. 이야기꾼에게 문제를 가져간다. 2. 이야기꾼이 그대와 함께 그 문제를 바라본다. 3. 문제가 녹아나간다. 왜냐하면 그녀가 바로 그대라는 것을 깨닫게 되니까. 이야기꾼은 그대다.그대는 그저 잠시 아바타와 좀 더 진하게 동일시되었던 것뿐이다. 하지만 이를 실천하기는 그리 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우선, 스스로에게
8 min read
의식적 탈특화가 의식적 특화보다 더 쉽습니다.
시점

의식적 탈특화가 의식적 특화보다 더 쉽습니다.

제 관찰과 경험에 따르면, 초반에는 원치 않는 영감으로부터의 의식적 탈특화가 원하는 영감으로의 의식적 특화보다 더 쉽습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예를 들자면, ‘나는 머저리다’로부터 의식적으로 탈특화하는 것이 ‘나는 천재다’로 의식적으로 특화하는 것보다 쉽단 뜻입니다. 왜냐하면, 시점이 ‘나는 머저리다’로 가득하면 새로운 영감이 페이지에 닿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흰 페이지에 아주
6 min read
“그냥 아는” 느낌.
마인드셋

“그냥 아는” 느낌.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이미 주요 시점 특화를 몇 개 고려/승낙하신 상태입니다. 이를테면: * 나는 이 아바타이지만, 또한 이야기꾼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야기이자 그 안의 전부다). * ‘외부’ 환경은 내 아바타와 그 몸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다. * 반대되는 것들은 서로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실 서로의 존재를 증명한다. 하지만 관찰과 경험에 비추어 볼 때,
5 min read
반대되고 상대되는 것들의 사용에 대한 추가 내용 + 유용한 시점 특화.
시점

반대되고 상대되는 것들의 사용에 대한 추가 내용 + 유용한 시점 특화.

지금까지 이 세계관의 다양한 측면을 다뤘습니다. 몇 가지 핵심을 요약하고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 아바타에게는 무언가가 부정적일 수 있으며, 그러한 무언가에는 부정성이 허락되어야 한다. * 동시에, 이야기꾼은 아바타의 모든 것을 필연적이며 무조건적인 사랑으로 받아들인다. * 또한 아바타 수준에서조차, 부정성이 없었더라면 아바타는 긍정성을 어떻게 경험해야 할지 알 수가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아바타가 부정적이라고 받아들이는
5 min read
이야기꾼에게 분개한 상태는 좋은 시작점입니다.
마인드셋

이야기꾼에게 분개한 상태는 좋은 시작점입니다.

이전 포스트에서, 지금까지 선보인 이야기꾼이라는 아이디어가 분노, 좌절, 억울함 등의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대개 바람직하지 않다고 간주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반응은 매우 좋은 시작점입니다. 또한 제 생각에는, 처음에 '이야기꾼의 눈' 같은 세계관을 접할 때 우리가 택하게 될 확률이 높은 길입니다. 우리 대부분은, 자기가 소설 속에서
2 min read
상대성을 띠는 아바타 세상.
시점

상대성을 띠는 아바타 세상.

지금까지의 포스트들에도 불구하고, 혹은, 어쩌면 그 포스트들에 들어 있는 내용 때문에, 이야기꾼을 향해 분노가 치밀어오를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언급된 것들 중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 이야기꾼은 아바타를 필요로 한다. 아바타가 든 이야기 없이는 이야기꾼이 이야기꾼일 수가 없다. * 우리에게 곤경이 닥치는 이유는, 우리가 누구/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서다. (=이야기꾼이 누구/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서다.
3 min read
그대의 이야기꾼은 그대를 무조건적으로 사랑합니다.
마인드셋

그대의 이야기꾼은 그대를 무조건적으로 사랑합니다.

다음은 우리가 이야기꾼에 대해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점입니다. 심지어, 알아야 할 유일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제 이야기꾼은 저를 무조건적으로 사랑합니다. 그대의 이야기꾼은 그대를 무조건적으로 사랑합니다. 우리 각각의 이야기꾼들은 우리 각각을 무조건적으로 사랑합니다. 이 이유에서 이 세계관을 '이야기꾼의 눈'이라고 부르기로 한 겁니다. 제가 아는 단어 중, 이것
2 min read
애당초, 뭣 하러 이야기 속에 존재하는 건가?
마인드셋

애당초, 뭣 하러 이야기 속에 존재하는 건가?

왜 그냥 우리 모두가 이야기 속에서 깨어나서는, 이야기꾼의 성질로 돌아가고, 이에 따라, 말하자면, '집으로 돌아가지' 않는가? 왜 이야기꾼은 아바타를 이야기 내의 어려움 속으로 보낼 필요가 있는가? 다른 말로 하자면, 이야기가 이러면 왜 안 되나?: 옛날 옛적에, 날고 싶어 하는 여자아이가 살았습니다. 그녀는 자기가 날 수 있다고 결정했습니다. 그녀는
12 min read
시점은 아바타와 이야기꾼이 만나는 곳입니다.
시점

시점은 아바타와 이야기꾼이 만나는 곳입니다.

시점은 아바타와 이야기꾼이 만나는 곳입니다. 시점이 중간입니다. 소설에서 캐릭터와 소설가가 시점, 즉, 중간에서 만나는 것과 같습니다. 이 시점이란 것은 캐릭터에게 특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앞선 포스트들에서 언급되었듯이, 재미를 위해서는—캐릭터에게도, 소설가에게도—어느 정도의 특화됨이 필요한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시점이 팽창할 가능성은 늘 있지만, 그러한 가능성들이 늘 직접적으로 경험되지는 않습니다.
4 min read
이야기꾼과도, 아바타와도 동일시하기 + 내면과 외면.
영감

이야기꾼과도, 아바타와도 동일시하기 + 내면과 외면.

그 어떤 이야기라도 쓸 수 있는 것은 이야기꾼입니다. 우리가 이야기꾼과 동일시하면 할수록, 우리는 그 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렇긴 하지만, 다시 한번 강조하고 싶습니다. "그대의 시점은 강력합니다."에서 언급했듯이, 이야기꾼은 아바타를 필요로 합니다. 아바타 없는 이야기꾼에게는 빈 페이지만 있을 뿐입니다. 그리고 그 빈 페이지는 순수한 가능성입니다: 존재할 수
11 min r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