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 Cookies/쿠키.

2023-10: Cookies/쿠키.
From Nightcafe. Prompt: "A basket full of chocolate chip cookies in a cozy, well-lit kitchen with wooden surfaces."

Is a cookie recipe “theory”? I wouldn’t call it that. Sure, it’s a bunch of letters instead of the actual cookie, but I would still not use the word “theory” for a cookie recipe.

I am hoping to provide something like a cookie recipe on this site, instead of pure theory. Even the most theoretical-seeming theory, I only provide because it’s part of a cookie recipe. Once you read the recipe, you can take it and improvise in whichever way you want.

As in, you don’t need to measure the exact amount of sugar. And as to the number of eggs: all eggs all across the world are all different sizes anyway. If I said “Use two eggs,” maybe you try that first, and then decide to use three eggs instead.

Also, the funny thing with recipes is that, you can’t just multiply things. If you want to make double the amount of cookies, you can’t necessarily double every ingredient. And the oven size is probably the same, so, how long you leave your cookies in the oven won’t be exactly the same. (And by no means can you double the time in the oven just because you’re making double the amount!)

Point being: there are a bunch of letters on this site, but they aren’t there to stay in the theoretical realm. If they were to stay there, they would be completely useless. We gotta make actual cookies with the recipe, and I don’t care if the recipe is exactly followed. I don’t know what oven you use, I don’t know what flour you use. I don’t know the condition of the eggs and chickens in your spacetime.

I only hope you like the cookies you get.

🧵
"The Storyteller's Eye" is a place where I connect storytelling with the "I." To get a feel for how do I that, you might want to start here with the organized worldview. Also, here is a page listing the recommended resources outside of this website. And here is a list of tags and terms.

쿠키 레시피는 ‘이론’인가? 저라면 그렇게 안 부를 것 같습니다. 물론 실제 쿠키가 아닌 글자 한가득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쿠키 레시피를 ‘이론’이라고 부를 것 같진 않아요.

이 사이트를 통해 저는 순수 이론이 아니라 쿠키 레시피 같은 것을 올리고자 합니다. 가장 이론처럼 보이는 이론조차, 그것이 쿠키 레시피의 일부이기 때문에 올리는 겁니다. 여러분이 레시피를 읽은 후에는 원하시는 대로 아무렇게나 영감대로 하시면 됩니다.

즉, 설탕이 정확히 얼마나 들어가는지 재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달걀의 숫자 같은거야말로, 어차피 온 세계의 온갖 달걀들이 죄다 크기가 다르지 않습니까? 그러니 제가 “달걀 두 개를 쓰세요”라고 했을 때 어쩌면 처음엔 그렇게 해볼 수야 있겠지만, 나중에는 달걀 세 개를 쓸 결정을 내리실 수도 있죠.

또한 레시피란 참 재밌는 것이, 뭔가를 단순히 곱할 수가 없습니다. 쿠키의 양을 두 배로 만들고 싶다고 해서 반드시 재료를 2로 곱할 순 없단 거죠. 그리고 아마 오븐 크기는 같을 테니, 쿠키를 오븐에 얼마나 오래 두는지가 정확히 같지도 않을 겁니다. (게다가 양을 두 배 만든다고 해서 오븐에 두는 시간을 두 배로 하는 건 절대로 안 되죠!)

요지는: 이 사이트에 글자가 한가득인데, 이론 영역에 남으라고 거기 있는 것이 아닙니다. 만약 거기 남는다면, 완전히 무용지물일 거예요. 우리는 레시피로 실제 쿠키를 만들어야 하며, 저는 레시피가 정확하게 따라지는지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어떤 오븐을 쓰는지 모르고, 어떤 밀가루를 쓰는지 모릅니다. 여러분의 시공간에 있는 달걀과 닭들의 상태가 어떤지도 몰라요.

여러분이 만드시는 쿠키가 마음에 드시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
"이야기꾼의 눈"은 제가 이야기하기를 '나'와 연결하는 곳입니다. 저의 방식이 어떤 느낌인지 알고 싶으시면, 여기서 정리된 세계관으로 시작하세요. 또한, 이 웹사이트 외부에 있는 추천 자료를 정리한 페이지도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태그 목록용어가 있습니다.
  • 내 몸 안의 '나.': 우리는 '나'의 위치를 몸의 한 부분으로 안내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가슴 부분으로요.
  • 첫 용어 몇 개.: 몸, 마음, 아바타, 시점에 대한 간략 정의.
  • 내 몸 밖의 '나'?: 우리는 우리의 위치를 몸과 동일시하기도 하고, 마음과 동일시하기도 하며, 이 전환은 쉽습니다.
  • 시간, 공간, 그리고 시점.: 시점은 시간과 공간을 자유롭게 의동할 수 있는데, 이때 각 좌표에게 동등한 무게/견고함/타당성을 부여합니다.
  • 📍전혀 고요하지 않은 나.: 웹사이트 열던 때쯤의 폭풍, 직간접 묘사.

Subscribe for monthly roundups.